날이 조금씩 풀리고 있습니다. 다들 어떻게 지내고 계신가요? 띵동은 새로운 상임활동가(!)가 오셨고, 회원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비영리 및 법인 총회를 잘 마쳤습니다. 또한 주 2일 24시간 긴급지원 캠페인을 진행하며 4월 운영을 시작하기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띵동의 다양한 소식을 들고 왔는데요, 3월 뉴스레터를 통해 만나보실까요? |
|
|
💌 신입활동가 '도터'의 편지
🌱 기부자 인터뷰: “띵동 기부는 생존하라는 응원이에요.”
🏳️🌈 3월부터 원스톱 심리상담 지원!
🌞 2월 띵동 상담 및 위기지원 이슈
🗣️ 제1기 띵동 법정책 자문단을 소개합니다 |
|
|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지원 FAQ팀’ ZOOM회의 때의 띵가띵가 도터 |
|
|
💌 신입활동가 '도터'의 편지
안녕하세요, 띵동의 존경하는 후원자 선생님들과 뉴스레터 구독자 여러분.
저는 올해 1월 1일부터 띵동에서 일하게 된 상임활동가 ‘도터’라고 합니다:)
선생님들께 이렇게 〈신입활동가의 편지〉로 인사를 드릴 수 있게 되어 무척 놀라우면서도 두려운 마음이 듭니다. 2019년 띵동의 자원활동가 ‘띵가띵가’로서 시작한 띵동과의 인연을 이렇게까지 이어올 수 있다니…. 지금 이 편지의 한 단어 한 단어를 적어 내려가는 순간마다 ‘이런 일을 내가 할 수 있다니!’ 같은 기쁜 마음과 ‘이런 일을 내가 할 수는 있을까?’ 같은 걱정되는 마음이 갈마들고 있답니다(∧ ▽ㅜ) (이어서...) |
|
|
🌱 기부자 인터뷰: “띵동 기부는 생존하라는 응원이에요.”
청소년 성소수자에게 '일단 살아서 다음을, 또 그 다음을 도모할 수 있기를 바란다'는 응원으로 띵동에 팬 기부를 해주신 감태즈분들을 만났습니다. 팬클럽으로 기부를 한 것이 또 새로운 의미로 다가오기도 했다는 말을 전해주기도 했습니다.
기부자 '이반지하 팬클럽 감태즈의 느네때문, 슬슬' 님의 띵동과 나눔에 대한 이야기를 만나볼까요!
|
|
|
🏳️🌈 띵동이 3월부터 원스톱 심리상담 지원을 시작합니다!
띵동을 찾는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이슈는 '정신건강(심리문제)'이지만, 청소년들의 경제적·심리적 장벽 내지 성소수자 친화적인 상담 자원의 부족으로 전문 심리상담 지원에는 어려움을 갖고 있었습니다.
3월부터는 띵동과 인연을 맺어온 개인 심리상담사 라이더님과 협약을 맺어, 심리상담이 필요한 내담자들에게 센터 내에서 원스톱으로 심리상담을 연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보다 튼튼한 위기지원을 위한 띵동의 또 한 발짝을 응원해주세요!
|
|
|
🌞 2월 띵동 상담 및 위기지원 이슈
2023년 2월에는 25명의 청소년 성소수자가 띵동에 고민을 나눠주었고, 그 중 4명은 띵동에 처음 연락 준 청소년들이었습니다. 2월 띵동은 정규 상담 33건, 카카오톡 상담문의 및 응대 234건, 93건의 센터이용, 32건의 위기지원을 하였습니다.
2023년 2월에는 성소수자 자녀를 둔 부모, 또는 청소년 성소수자를 만나는 기관 실무자의 문의가 9건 있었습니다. 청소년 성소수자의 주변인으로서 당사자를 보다 잘 만나고, 지지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논의할 수 있었습니다. 총 33건의 상담과 더불어 생필품 제공, 심리상담 등 띵동의 위기지원 활동 또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
|
🗣️ 제1기 띵동 법정책 자문단 활동이 시작됐습니다
2023년 3월, 청소년 성소수자의 인권옹호를 위한 새로운 한 걸음, 띵동 법정책 자문위원의 활동이 시작되었습니다. 1기 자문위원은 장서연(공익인권법재단 공감), 정명화(공동법률사무소 이채), 마한얼(사단법인 두루), 이도경(서울대공익법률센터, 한국성폭력상담소) 변호사로 구성되어,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차별없는 사회에서 나답게 살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법과 제도에 대해 함께 고민하려 합니다.
특히 학교에서 청소년 성소수자의 존재를 지우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는 2023년, 든든한 띵동 법정책 자문위원분들과 함께 청소년 성소수자의 인권옹호 활동에 더욱 박차를 가해봅니다.
|
|
|
응원과 지지, 후원으로 함께 해주시는 후원회원님, 언제나 고맙습니다.
후원해 주시는 기부금, 물품 등은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해 사용됩니다. 매월 뉴스레터와 홈페이지를 통해 기부 및 재정 현황을 투명하게 살펴보실 수 있으며, 아래 버튼을 클릭(터치) 하시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띵동 사무국에 연락 주세요.
사단법인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 사무국 (회원모금팀)
070-4493-1640 give@ddingdong.kr |
|
|
🍋 띵동의 이번달 뉴스레터는 어땠나요?
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더 자세히 알고 싶은 이슈가 있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 알려주세요!
보내주시는 피드백은 담당자가 항상 살펴보고, 반영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의견 보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