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 띵동과 함께 해주시고 띵동의 소식을 기다려주셔서 감사드려요!
어떤 마음으로 1월을 보내고 계신가요? 2023년을 맞은 띵동의 마음과 소감은 아래에 꾹꾹 눌러 담았습니다. 뜻깊었던 활동 소식과 좋은 소식을 가득 담아왔으니 찬찬히 살펴봐주시길 바랍니다! |
|
|
💜 2023년을 맞이한 띵동의 (아마도) 한 마디
✨ 띵동, 임팩트그라운드 2기 최종 선정
🏘️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주거권에 대해 말하다!
🌲 12월 띵동 상담 및 위기지원 이슈
🌱 기부자 인터뷰: “띵동 기부는 저에게 자랑거리에요!”
🎉 띵가띵가 12월 정기모임 및 송년회 |
|
|
2022. 12. 전체 워크샵 프로그램 중 찍은 상임활동가들의 손 사진
|
|
|
지은 💬
“2023년에는 우리, 사랑을 더 말하고 발휘할 때입니다.”
상훈 💬
“새해를 맞이하고 띵동을 떠올려 보니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고 그 일들을 해냈다는 게 실감이 나질 않았습니다. 이런 경험을 가지고도 미래에 해야할 것들이 한 편으로 겁이 나지만 지금처럼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해낸다면 더 먼 미래엔 정말로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생겼습니다. 2023년도에도 믿지 못할 일들을 만들어가봐요!”
아델 💬
“어느새 2023년이 되었네요... 동료 활동가들과 몸과 마음의 건강을 잘 챙기며 이번 1년도 힘내보겠습니다. 아자!”
호찬 💬
“따듯한 기부 소식과 늘 응원해주시는 분들 덕분에 2022년도 잘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2023년은 어떨까요? 여전히 변하지 않는 사회를 어떻게 하면 마주할지 두렵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어떤 일이 일어날지 기대도 됩니다. 힘들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청소년 성소수자와 함께 할 테니 올해도 많은 응원과 지지 부탁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풍파 속에서도 청소년 성소수자 곁에 굳건히 있고 싶습니다.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띵동'”
지희 💬
“연일 슬프고, 분노할 일들이 벌어졌지만 그보다 더욱 단단하게 띵동을 지켜주는 기부자분들 덕에 띵동은 청소년 성소수자와 안부를 나누고, 서로의 힘이 되어 줄 수 있었습니다. 2023년에도 여러 난관이 예상되지만 기부자분들과 함께라면 청소년 성소수자가 행복한 세상이 반드시 올거란 기대를 놓지 않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올해에도 띵동을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성현 💬
“2023년도 만남 속에서 힘과 사랑, 성찰과 변화가 일어나기를! ”
정욜 💬
“성소수자가 삭제된 교과과정 개정안, 만연화된 차별과 혐오, 2023년은 청소년 성소수자들에게 더 가혹한 한 해가 될지 모르겠습니다. 띵동은 우산을 더 크게 펴고, 안전한 공간을 확장하며, 청소년 성소수자 곁에 있겠습니다. 차별과 혐오라는 비에 젖지 않게, 꿈을 잃지 않고 후원회원 여러분과 한번도 가보지 않았던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가고 싶습니다.
|
|
|
✨ 2023년 브라이언임팩트재단과 함께
더 크고 더 깊게 청소년 성소수자를 지원하겠습니다.
브라이언임팩트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비영리 혁신조직을 지원하는 사업 ‘임팩트그라운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띵동은 임팩트그라운드 2기에 최종 선정되어 청소년 성소수자들의 안전한 공간과 긴급 지원을 제공하는 ‘홈, 프라이드 홈(Home, PRIDE HOME)’에 더 가까워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청소년 성소수자 주거 지원을 위해, 12시간에서 24시간으로. '홈, 프라이드 홈 프로젝트'에 더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야간에도 긴급하게, 안전하게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청소년 성소수자란 이유로 차별받지 않는 공간을 만드는데 띵동이 열심히 달려가고 있으니, 앞으로도 많은 응원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
|
|
🏘️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주거권에 대해 말하다!
12월 띵동은 코로나 19 이후 오래 하지 못했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는데요. '집'을 떠나 저마다 자신의 '집'을 찾아가는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모여 주거권에 대해 말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각자가 거쳐온 집에 대한 감상을 나누며, 각자에게 집이란 무엇인지 정의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집'을 물질적, 제도적, 관계적 차원에서 상상해보고, 이러한 집을 찾아가기 위해 '청소년 주거권'이 왜 필요하고, 무엇이 필요하고 혹은 필요하지 않은지를 말해보았습니다.
청소년 성소수자가 '나답게' 살기 위해 꼭 필요한 청소년 주거권, 아래 버튼을 눌러 함께 고민해보아요!
|
|
|
🌲 12월 띵동 상담 및 위기지원 이슈
2022년 12월에는 27명의 청소년 성소수자가 띵동에 고민을 나눠주었고, 그 중 7명은 띵동에 처음 연락 준 청소년들이었습니다. 2022년 12월 띵동은 정규 상담 36건, 카카오톡 상담문의 및 응대 248건, 80건의 센터이용, 41건의 위기지원을 하였습니다.
12월 상담에서는 가족과의 갈등, 정신건강 및 심리 이슈, 진로/학업 이슈가 두드러졌습니다. 성소수자로서 안전하게 학교를 다닐 수 없고, 자긍심을 갖기 너무나 어려운 환경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자신의 미래를 그릴 수 있도록 돕는 상담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물품 기부 덕분에 탈가정 등 위기 상황의 청소년 성소수자들에게 생필품을 지원하는 사례가 크게 늘었습니다.
|
|
|
🌱 기부자 인터뷰: “띵동 기부는 저에게 자랑거리에요!”
단 한 명이라도 자신으로 편히 있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면 그것으로 감사하다며 띵동의 시작부터 함께 해주신 로이스 님. '널리 알리고 싶은 자랑거리'라고 정의한 띵동 기부를 시작한 계기와 그 과정 속에서의 변화 등 다양한 고민을 나눠주셨습니다.
기부자 로이스 님의 띵동과 나눔에 대한 이야기를 만나볼까요!
|
|
|
🎉 띵가띵가 12월 정기모임 및 송년회
12월의 띵동은 띵가띵가와 함께 2022년 한 해를 되돌아보며 송년회를 가졌습니다. 서로가 서로에게 남긴 메시지를 모두와 시청하고 서로의 마음이 담긴 선물을 나누며 따듯한 순간으로 가득했던 송년회. 2022년 한 해는 특히 그 이전 해와 달리 오프라인 활동이 조금씩 많아져감에 따라 띵가띵가끼리도 역시 서로 더 많이 만날 수 있어서 특별했던 해였답니다!
더욱 따듯한 내용과 사진이 궁금하시면 아래의 버튼을 눌러주세요!
|
|
|
응원과 지지, 후원으로 함께 해주시는 후원회원님, 언제나 고맙습니다.
후원해 주시는 기부금, 물품 등은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해 사용됩니다. 매월 뉴스레터와 홈페이지를 통해 후원 및 재정 현황을 투명하게 살펴보실 수 있으며, 아래 버튼을 클릭(터치) 하시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띵동 사무국에 연락 주세요.
청소년 성소수자 위기지원센터 띵동 사무국 (회원모금팀)
070-4493-1640 give@ddingdong.kr |
|
|
🍋 띵동의 이번달 뉴스레터는 어땠나요?
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더 자세히 알고 싶은 이슈가 있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 알려주세요!
보내주시는 피드백은 담당자가 항상 살펴보고, 반영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의견 보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
|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후원계좌 신한은행 100-030-529880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 lgbtq@ddingdong.kr 02-924-1224 구독해지 Unsubscribe |
|
|
|
|